근로자건강증진활동

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

근로자 개인적으로 또는 직장에서 부서 및 회사 전체의 집단적 스트레스요인 수준을 평가하는 활용되며,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와 그 사용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.
[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 KOSHA GUIDE H-67-2012]
개인 또는 직장 내 부서 및 회사 전체의 집단적 스트레스 요인 측정하는데 활용. 8개항목 (43개 문항)

  • 물리적환경 :  환경요인 측정 
  • 직무불안정 : 직무에 대한 안정성 측정(구직, 고용불안정)
  • 직무요구도 : 직무에 대한 부담 정도 측정 
  • 조직 체계 : 조직내 갈등, 의사소통 결여 측정 
  • 직무자율성 : 의사결정 권한 자율성 측정
  • 보상부적절 : 보상의 정도 적절한지 측정(금전적 보상)
  • 관계 갈등 : 대인관계 측정
  • 직장 문화 : 회식, 음주문화, 성적 차별 측정

뇌심혈관계질환 예방관리

작업관련 뇌·심혈관질환 발병위험인자인 생활습관요인, 건강상태요인 등을 조사하여 향후 뇌·심혈관질환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 관리에 대해 사업주와 근로자 및 담당 의사가 지켜야 할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함.
[직장에서의 뇌·심혈관계질환 예장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지침 KOSHA GUIDE H-200-2018]

  •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2년 1회의 주기로 실시.
  • 뇌·심혈관질환 발병위험 수준에 따른 그룹 분류 : 저위험구느 중등도위험군, 고위험군, 최고위험군
  • 업무 적합성 평가 및 뇌·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에 따른 사후관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