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로자 개인적으로 또는 직장에서 부서 및 회사 전체의 집단적 스트레스요인 수준을 평가하는 활용되며,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와 그 사용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.
[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 KOSHA GUIDE H-67-2012]
개인 또는 직장 내 부서 및 회사 전체의 집단적 스트레스 요인 측정하는데 활용. 8개항목 (43개 문항)
작업관련 뇌·심혈관질환 발병위험인자인 생활습관요인, 건강상태요인 등을 조사하여 향후 뇌·심혈관질환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 관리에 대해 사업주와 근로자 및 담당 의사가 지켜야 할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함.
[직장에서의 뇌·심혈관계질환 예장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지침 KOSHA GUIDE H-200-2018]